안녕하세요. 신용카드 전문 블로거 곧미남 씽씽입니다.
오늘은 신한카드 국민카드 삼성카드 애플페이 사용가능? 주제로 블로그를 작성하겠습니다. '23년도 상반기에 애플페이가 국내에 도입된 후 현대카드가 독점으로 계약 후 애플페이를 사용을 해왔습니다. 그럼 카드회사 국내 1위~4위에 해당이 되는 신한카드 국민카드 삼성카드 각 회사들은 애플페이가 어떻게 되는지 알려드리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신용카드 회사 중 항상 1등이었던 신한카드를 뒤로 현대와 삼성 그리고 국민카드 이 3개의 회사들이 2위 다툼이 매우 치열하게 전개해 왔습니다. 하지만, 23년도 현대카드에서 애플페이가 출시가 된 후 현대카드는 삼성카드를 따돌리고 국내 카드 회사에서 신한카드에 이어 2위를 차지하게 되는데, 바로 애플페이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애플페이가 현대카드에서 독점으로 출시가 된 지 1년이 지나갔지만, 아직 타 카드회사들에 대한 협약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그동안 애플페이가 국내에 도입이 되면서 많은 화제가 되었고, 현대카드가 독점으로 제휴를 시작한 후 다른 카드회사들도 애플페이에 곧 진출을 할 거라는 분석만 있었습니다.
각 신용카드 회사들은 정부의 규제와 경기 악화에 따라 모든 회사들이 성장에 대해서 하향세를 보이고 있지만, 현대카드만 유일하게 성장세를 보인 모습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 상위 4곳의 카드회사인 신한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국민카드에서 현대카드는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한카드와 국민카드 삼성카드도 현대카드처럼 언제 애플페이 도입이 되는지 궁금하실 것입니다. 확정된 내용은 없지만 '24년에 신한카드, 국민카드, BC카드가 애플페이에 진출은 한다는 소문이 카드업계에서는 들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신용카드 회사에서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솔직히 말씀을 드리자면 가능성이 높지는 않아 보입니다.
제가 아직은 이르다고 생각하는 첫 번째 이유는 수익성에 대한 이슈입니다. 애플페이를 도입을 하게 될 경우 카드회사는 애플에 0.15% 정도의 수수료를 지급을 해야 합니다. 이에 반해 삼성페이는 삼성 쪽에 지급되는 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모든 카드 회사들이 도입을 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애플에 지급해야 하는 수수료 이 외에도 더 큰 문제는 국내에 아직 애플페이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 되어 있지 않은데, 이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 카드회사도 일정 부분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삼성페이는 MS방식의 결제를 고수를 하는 것에 비해 애플페이는 NFC단말기를 사용을 해야 하는데, 현재 이 NFC 단말기는 국내 가맹점에 10곳 중 1곳 밖에 되지가 않는 게 가장 큰 문제입니다. NFC카드 단말기가 비용도 MS단말기에 비해 더 비싸기도 합니다.
그리고 아이폰을 사용하는 주 연령층은 20~30대 MZ세대입니다. 사회생활을 막 시작하는 연령으로 40~50대에 비해 결제하는 고액 결제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카드회사에 큰 수익이 보장이 되지 않기도 합니다. 실제로 현대카드를 설명을 드리자면 애플페이 도입 후 신규 회원수가 늘어난 것 맞지만, 대부분 소액결제 비중이 전체 금액에 1/4에 해당이 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슈들로 인해 아직 각 신한카드 삼성카드 국민카드 이 외에 다른 카드회사에서 애플페이를 도입하겠다고 선언을 한 카드 회사는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평생 도입이 되지 않는다라고는 말씀을 못 드립니다.
현재 각 카드회사에서는 애플페이 도입을 위한 방안을 개발 중인 부서가 모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4년도에는 분명히 애플페이를 참여하는 카드 회사는 무조건 나오는 것은 기정사실이라고 봐야 되지만, 어떤 카드회사가 먼저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아마, 비용적인 면을 고려하였을 때 삼성카드와 신한카드가 우선 도입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두 회사는 다른 회사들과 다르게 MZ세대에 특화된 카드 상품들도 출시를 꾸준히 하고 있기 때문에 '24년도 안에 애플페이 도입이 될 거라고 기대해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신한카드 국민카드 삼성카드 애플페이 사용가능이라는 주제로 블로그를 작성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면 애플페이 도입을 위한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도입이 늦어지는 것이지만, MZ세대 대세를 따라야 하는 것은 카드회사의 운명이기 때문에 신한카드와 삼성카드에서 곧 도입이 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카드 제로에디션3 포인트형, 할인형, M포인트 사용처 파헤치기(feat. 연회비 캐시백포함) (0) | 2024.03.11 |
---|---|
혜택 좋은 신용카드 추천 - 하나카드 제이드(JADE Classic) (0) | 2024.03.04 |
우리카드 추천 - 트래블월렛 우리카드 트래블월렛 혜택 및 수수료 상세 알아보기 (0) | 2024.01.31 |
'24년 1월 우리카드 무이자할부, 할부이자, 부분무이자 (국세/지방세포함) (1) | 2024.01.21 |
신한카드 추천 딥드림 플래티늄 카드 (Deep Dream Platinum+) (0)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