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곧미남이 될 곧미남 씽씽입니다
오늘은 장례식장 조문예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나이가 들고 사회생활을 시작을 하면 경조사가 많이 발생이 됩니다
특히 장례식장에 방문할 때는 무거운 자리인 만큼 예절과 예의가 가장 중요합니다
저도 젊었을 때 방문예절 잘 몰랐지만 나이가 들수록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조문이란]
조문이란 상주를 위로 한다는 뜻인데요
弔問 조상할 조와 물은 문인데 상주된 사람을 조상하고 위문한다, 즉 슬퍼하고 안부를 묻는다는 의미입니다
[조문순서]
1. 입장 전 복장 점검 및 부의금은 미리 봉투에 준비하기
- 자신의 옷이나 머리 상태를 점검을 하십시오
- 방명록 앞에서 돈뭉치를 꺼내는 건 안됩니다
- 봉투에 이름은 우편봉투의 뒤쪽 좌측하단에 이름을 적습니다
- 부의는 홀수로 전달하는데 9만 원은 아홉수로 상징하여 불길하기 때문에 하지 않고 보통 5만 원 10만 원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2. 방명록 작성
- 분향 전 방명록을 작성을 해주세요
- 미리 오셔서 작성하셨던 분들처럼 똑같이 이름을 적는 것임으로 어려운 건 없습니다
- 부의금은 들어가기 전 부의함에 넣거나 아니면 나오실 때 넣으셔도 됩니다
3. 분향 및 헌화
-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로 인사 후 분향 또는 헌화를 합니다
- 분향은 방문한 인원 중 대표 1명만 하시면 됩니다. 분향을 오른손으로 잡아 불을 붙이고 살살 흔들어 불을 꺼주세요
- 이때 입으로 바람을 불어 불을 끄면 안 됩니다
- 헌화는 할 때는 오른손으로 꽃을 들고 왼손으로 받치고, 꽃봉오리가 영정 쪽으로 향하도록 두세요
4. 절
- 분향 후 영정 사진 쪽으로 절을 2번 합니다
-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여자는 왼손이 위로가게 공수를 하고 절을 합니다
- 교인분들은 절 대신에 묵념은 해주시고요
- 그리고 상주 쪽으로 맞절을 1번만 하시면 됩니다
- 조문 인사말은 낮은 목소리로 짧게 하고 오세요
- 조문이 끝나면 뒷걸음으로 2~3걸음 후 돌아서서 나오시면 됩니다
[조문 시 주의사항]
1. 유가족을 오랫동안 붙잡고 말하는 건 실례입니다. 특히 사망원인 경위에 대해서 상세하게 묻는 건 실례입니다
- 상주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더 잘 알 거예요
2. 상주와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건 삼가 부탁드립니다
3. 식사 중 너무 큰 소리로 대화하는건 자제해주세요
이상 장례식장 조문예절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로 부탁드립니다. 곧미남 씽씽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놀이기구 자석그림판 추천합니다!! (0) | 2023.07.21 |
---|---|
아기물통 베베락 물통 추천드립니다! (0) | 2023.07.21 |
록키마운틴 텀블러 (Rocky mountain 텀블러) 구매 후기 (0) | 2023.07.15 |
하드기어 G6 Whiteswan (화이트스안) 피칭후기 (0) | 2023.07.11 |
신안군 수협 어판장 가서 민어건정(민어반건조) 구매했어요~! (민어 회 택배도 가능) (0) | 2023.07.06 |